알제리 요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알제리 요리는 알제리의 전통적인 요리법과 식재료를 활용한 다양한 음식 문화를 의미한다. 알제리 요리에는 쿠스쿠스, 미르까즈, 양고기, 채소, 해산물, 다양한 향신료가 사용되며, 스튜, 수프, 파스타, 전채 요리, 디저트, 음료 등 다양한 종류의 음식이 존재한다. 주요 요리로는 쿠스쿠스, 타진, 부렉, 쇼르바 프리크 등이 있으며, 후식으로는 바클라바, 므세멘, 스펀지 등이 있다. 음료로는 커피, 민트 차, 과일 주스 등이 있으며, 다양한 소스와 조미료가 사용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알제리 요리 | |
---|---|
개요 | |
![]() | |
종류 | 요리 전통 |
지역 | 알제리 |
주요 재료 | 밀 올리브 과일 채소 양고기 소고기 향신료 |
변형 | 베르베르 요리 지중해 요리 프랑스 요리 오스만 요리 |
특징 | |
역사적 영향 | 알제리 요리는 풍부한 역사와 문화적 영향의 산물이다. 베르베르인, 아랍인, 튀르크인, 프랑스인의 영향이 복합적으로 작용했다. |
일반적인 재료 | 알제리 요리는 밀 (특히 세몰리나)을 주식으로 사용하며, 올리브, 과일, 채소도 많이 활용한다. 양고기와 소고기는 인기 있는 육류이며, 다양한 향신료가 풍미를 더한다. |
주요 요리 | 쿠스쿠스: 가장 대표적인 알제리 요리 중 하나로, 세몰리나로 만든 쿠스쿠스에 고기나 채소 스튜를 곁들여 먹는다. 카란티타: 병아리콩 가루로 만든 일종의 파리나타이다. 마크루드: 대추야자 페이스트를 넣어 만든 페이스트리이다. 메르게즈: 양고기로 만든 매콤한 소시지이다. 파스틸라: 얇은 페이스트리 반죽 안에 고기와 견과류를 넣어 만든다. |
음료 | 알제리에서는 와인도 생산된다. |
2. 식재료
알제리 음식에서 가장 흔한 식재료는 쿠스쿠스이다. 틀렘센의 특산품인 샤크슈카, 카란티타, 마르카 벨라셀, 차흐추하와 같은 다른 음식과 함께 제공된다. 인기 있는 알제리 고기는 베르베르 원주민 소시지인 미르까즈이다.[9][10][11]
알제리는 다른 마그레브 국가들과 마찬가지로 다양한 지중해 과일과 채소는 물론 일부 열대 과일도 생산한다.[6] 양고기가 흔히 소비된다. 지중해 해산물과 생선도 먹는다.[7]
2. 1. 육류
알제리에서는 많은 양의 고기를 소비하며, 거의 모든 요리에서 찾아볼 수 있다. 양고기는 알제리에서 가장 많이 소비되는 고기이다.[8]
가금류와 쇠고기 또한 사용되며, 사냥고기, 조류, 사슴고기와 같이 흔하지 않은 종류의 고기는 별미로 여겨진다. 남부 지역에서는 낙타고기도 먹는다.
미르까즈는 베르베르족에서 유래된 소시지의 한 종류이다.[9][10][11]
2. 2. 채소
알제리에서는 다른 마그레브 국가들과 마찬가지로 다양한 지중해 과일과 채소를 생산하며, 일부 열대 과일도 생산한다.[6]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채소로는 감자(batata/betetè), 당근(zrodiya/sennariya), 순무(lefft), 양파(bsel/besla), 토마토(tomatish/tømètish/t'matem), 주키니(corget/qar'a/khyar'), 마늘(ethoum), 양배추(cromb), 가지(bidenjan), 올리브(zéton), 페니로얄(fliou), 엉겅퀴(korchef), 잠두(fool), 병아리콩(homoss), 아티초크(qarnoun), 고추(felfel) 등이 있다.이러한 채소는 종종 스튜(tagine/jwaz/djwizza)와 수프(쇼르바/harira/jari)에 사용되거나 단순히 튀기거나 찌기도 한다.
2. 3. 해산물
알제리에서는 다른 마그레브 국가들과 마찬가지로 지중해 해산물과 생선도 먹는다.[7] 정어리, 메를루사, 새우, 문어, 참치, 대구는 알제리 요리에서 흔히 먹는 주요 해산물로, 주로 스튜나 튀김으로 조리된다.2. 4. 향신료
알제리 요리에는 고춧가루, 캐러웨이, 커민, 계피, 강황, 생강, 파프리카, 고수, 사프란, 메이스, 정향, 회향, 아니스, 육두구, 카이엔 페퍼, 호로파, 흑후추 등 다양한 종류의 고추를 포함한 많은 향신료가 사용된다.라스 엘 하누트와 같이 일부 향신료 혼합물은 최대 27가지 향신료로 만들 수 있으며 북아프리카 지역에서 전통적으로 사용된다.
흐로르는 갈랑갈, 큐베브, 육두구, 계피로 주로 만들어지는 알제리 요리의 전형적인 향신료 혼합물이지만, 레시피는 다양하며 감초 또는 마편초와 같은 더 많은 향신료와 허브를 포함할 수 있다.
3. 주요 요리
알제리 음식에서 가장 흔히 볼 수 있는 주요리는 쿠스쿠스이다.[14] 쿠스쿠스는 전통적으로 밀로 만들지만, 보리로도 만들 수 있으며, 곡물을 발효시켜 ''엘 하문'' 쿠스쿠스를 만들기도 한다.[15] 쿠스쿠스는 쇠고기나 양고기와 함께 호박, 당근, 병아리콩, 강낭콩 등을 곁들인 소스를 곁들이거나, 닭고기, 렌틸콩, 검은 눈 완두콩을 곁들여 먹는다. 소스와 채소 없이 건조시킨 마스푸프(카빌어로는 타메크폴트)로 먹기도 하는데, 주로 잠두, 완두콩 또는 건포도와 대추를 곁들인 발효유와 함께 먹는다.
알제리에서는 양고기를 많이 먹으며,[8] 베르베르족이 즐겨 먹는 미르까즈 소시지도 인기 있다.[9][10][11] 가금류와 쇠고기도 사용되며, 사냥고기, 조류, 사슴고기 등은 별미로 여겨진다. 남부 지역에서는 낙타고기도 먹는다.
전통적인 알제리 파스타 요리로는 ''rechta'', ''chakhchoukha'', ''berkoukes'', ''tikourbabine''(또는 ''asban''), ''Aftir oukessoul'',[16] ''tlitli'' 또는 ''trida''[17] 등이 있다. 이 요리들은 주로 고기와 채소를 곁들인 붉은 스튜로 조리되지만, rechta는 흰색 스튜로 만들기도 한다.
채소는 스튜(tagine/jwaz/djwizza)나 수프(쇼르바/harira/jari)에 사용되거나, 튀기거나 쪄서 먹는다. 알제리의 채식 요리로는 ''karantita''(병아리콩플란), ''tbikha''(야채 스튜), shakshouka (일종의 라따뚜이, 종종 계란과 함께 조리됨), ''zaalouka'' (주로 가지와 토마토 라따뚜이, 뜨겁거나 차갑게 제공됨) 등이 있으며, 주로 빵과 함께 먹는다.
''타진'' 또는 ''djouez''는 토기에 조리하는 전통 요리이다. 채식으로도 만들 수 있지만, 주로 고기(양고기 또는 닭고기)와 채소를 넣어 만든다. 빨간 소스로 만든 타진은 ''chtitha''라고 부른다.
그 외 요리는 다음과 같다.
- ''부렉'' - 고기, 참치, 감자, 치즈 등 다양한 속을 넣은 튀긴 스프링롤.
- ''Mhadjeb'' - 양파와 토마토 소스를 채운 납작한 빵.
- ''Shakshouka'' - 양파, 토마토, 피망, 호박, 계란을 섞어 만든다.
- ''Chorba frik'' 또는 ''jari'' - 양고기를 넣은 토마토 기반 수프.
- ''Frites-omelette'' - 계란을 곁들인 프렌치 프라이.
- ''도바라'' - 병아리콩 수프.
- ''돌마'' - 국물에 조리된 속을 채운 채소.
- ''Tajine mtewem'' - 타진에 조리된 미트볼.
- ''Koubeb'' - 계피와 병아리콩을 넣고 흰색 소스에 조리한 닭고기를 두꺼운 프렌치 프라이와 파슬리와 함께 제공.
- ''marqa bel a'assel'' - 틀렘센 지역 특선 요리.
- ''zviti''
3. 1. 전채 요리
메인 요리 전에 먹는 작은 전채 요리는 (전통적으로 라마단 기간에 행해짐) 주로 수프(가장 유명한 것은 쇼르바)이지만, 케미아, 내장(간 또는 콩팥) 또는 캐러트에 커민을 곁들인 것 (''조로디야 므샤르믈라'')도 포함된다. ''찰라타 펠펠''(구운/훈제된 피망, 토마토, 양파 또는 쪽파와 마늘을 올리브 오일과 식초에 버무린 샐러드로, 일반적으로 차갑게 제공됨), 자알루크(주로 가지와 토마토로 만든 라따뚜이로 뜨겁거나 차갑게 제공됨) 또는 비트, 옥수수, 오이, 토마토 및 달걀로 만든 샐러드도 식사 전에 제공될 수 있다.3. 2. 주요리
알제리 음식에서 가장 흔히 볼 수 있는 주요리는 쿠스쿠스이다.[14] 쿠스쿠스는 전통적으로 밀로 만들지만, 보리로도 만들 수 있다. 또한 곡물을 발효시켜 ''엘 하문'' 쿠스쿠스를 만들기도 한다.[15] 쿠스쿠스는 쇠고기나 양고기와 함께 호박, 당근, 병아리콩, 강낭콩 등을 곁들인 소스를 곁들이거나, 닭고기, 렌틸콩, 검은 눈 완두콩을 곁들여 먹는다. 소스와 채소 없이 건조시킨 ''마스푸프''(카빌어로는 타메크폴트)로 먹기도 하는데, 주로 잠두, 완두콩 또는 건포도와 대추를 곁들인 발효유와 함께 먹는다.알제리에서는 양고기를 많이 먹으며,[8] 베르베르족이 즐겨 먹는 미르까즈 소시지도 인기 있다.[9][10][11] 가금류와 쇠고기도 사용되며, 사냥고기, 조류, 사슴고기 등은 별미로 여겨진다. 남부 지역에서는 낙타고기도 먹는다.
전통적인 알제리 파스타 요리로는 ''rechta'', ''chakhchoukha'', ''berkoukes'', ''tikourbabine''(또는 ''asban''), ''Aftir oukessoul'',[16] ''tlitli'' 또는 ''trida''[17] 등이 있다. 이 요리들은 주로 고기와 채소를 곁들인 붉은 스튜로 조리되지만, rechta는 흰색 스튜로 만들기도 한다.
채소는 스튜(tagine/jwaz/djwizza)나 수프(쇼르바/harira/jari)에 사용되거나, 튀기거나 쪄서 먹는다. 자주 사용되는 채소로는 감자, 당근, 순무, 양파, 토마토, 주키니, 마늘, 양배추, 가지, 올리브, 페니로얄, 엉겅퀴, 잠두, 병아리콩, 아티초크, 고추 등이 있다.
정어리, 메를루사, 새우, 문어, 참치, 대구 등은 알제리에서 흔히 먹는 해산물이며, 주로 스튜나 튀김으로 조리된다.
알제리의 채식 요리로는 ''karantita''(병아리콩플란), ''tbikha''(야채 스튜), shakshouka (일종의 라따뚜이, 종종 계란과 함께 조리됨), ''zaalouka'' (주로 가지와 토마토 라따뚜이, 뜨겁거나 차갑게 제공됨) 등이 있으며, 주로 빵과 함께 먹는다.
''타진'' 또는 ''djouez''는 토기에 조리하는 전통 요리이다. 채식으로도 만들 수 있지만, 주로 고기(양고기 또는 닭고기)와 채소를 넣어 만든다. 빨간 소스로 만든 타진은 ''chtitha''라고 부르는데, 예를 들어 ''chtitha djaj''는 병아리콩을 넣은 닭고기 요리이다.
그 외 요리는 다음과 같다.
- ''부렉'' - 고기, 참치, 감자, 치즈 등 다양한 속을 넣은 튀긴 스프링롤. 안나바 지역의 ''부렉 안나비''는 더 크고 으깬 감자, 다진 쇠고기, 버섯, 치즈, 계란, 파슬리를 넣어 만든다.
- ''Mhadjeb'' - 양파와 토마토 소스를 채운 납작한 빵.
- ''Shakshouka'' - 양파, 토마토, 피망, 호박, 계란을 섞어 만든다. 지역에 따라 다양한 종류가 있다.
- ''Chorba frik'' 또는 ''jari'' - 양고기를 넣은 토마토 기반 수프.
- ''Frites-omelette'' - 계란을 곁들인 프렌치 프라이.
- ''도바라'' - 병아리콩 수프.
- ''돌마'' - 국물에 조리된 속을 채운 채소.
- ''Tajine mtewem'' - 타진에 조리된 미트볼.
- ''Koubeb'' - 계피와 병아리콩을 넣고 흰색 소스에 조리한 닭고기를 두꺼운 프렌치 프라이와 파슬리와 함께 제공.
- ''marqa bel a'assel'' - 틀렘센 지역 특선 요리.
- ''zviti''
3. 3. 수프
알제리에는 전국적으로 소비되는 네 가지 잘 알려진 전통 수프가 있다. 쇼르바 프리크(일부 지역에서는 프리케 대신 카다이프를 넣어서 조리하기도 한다), 하리라, 자리, Tchicha zaatar|Tchicha zaatar프랑스어이다.[18] 이 전통 알제리 수프는 식사 시작 시 전채 요리로 제공되며 주로 양고기, 돼지고기 또는 닭고기, 병아리콩, 토마토, 버미셀리, 밀, 향신료, 다양한 채소와 콩과 식물로 만들어진다. 이 다양한 수프는 라마단 성월 동안 가장 인기가 많다. 가스파초 오라네즈는 만체고 요리의 알제리 버전이다.[18] 쇼르바에는 또 다른 변형인 쇼르바 비다(흰색 쇼르바)가 있는데, 닭고기, 카다이프, 병아리콩, 파슬리로 조리되며 토마토는 들어가지 않는다. 전통적으로 레몬즙을 짜서 먹는다.4. 후식
일반적으로 계절 과일은 식사 후 후식으로 제공된다. 이러한 과일에는 수박, 비파, 포도, 석류, 대추 등이 있다(식사 시작 시에도 제공될 수 있음).
흔한 페이스트리로는 ''dziriyat'', ''garn ghzal''(가젤 앤클과 유사), 바클라와, bradj프랑스어, 마크루드, 칼브 엘루즈, 즐라비야, griwech프랑스어(꿀에 담그고 참깨를 뿌린, 깊게 튀긴 프레첼 모양 반죽) 등이 있다.
많은 페이스트리는 이드 알피트르와 결혼식 같은 특별한 날을 위해 준비된다. 예를 들어, 무나는 전통적으로 신혼 여성들이 전통적인 함맘에서 다른 여성들에게 제공했다. 타미나는 세몰리나, 버터, ''흐로르'' 또는 기타 향신료와 꿀로 만든 일종의 페이스트로, 일반적으로 여성이 출산한 후에 제공된다.
므세멘, 스펜지, 바그리르는 보통 차와 함께 제공되며 꿀, 잼, 올리브 오일, 설탕 등을 곁들일 수 있다.
크레폰(오랑에서 유래)은 알제리의 특산품인 셔벗이다.[19] 스펜지, 크로키, 므차우차와 같은 다른 디저트와 케이크도 일반적으로 먹는다.
5. 음료
녹차에 박하를 넣은 차는 일반적으로 오후에 페이스트리류와 함께 마시는 의식에서 마신다.[20] 신선한 박하를 구할 수 없을 때는 말린 잎을 대신 사용할 수 있다. 제라늄 차는 꿀풀과 대신 제라늄 잎으로도 만들 수 있다. 일반적으로 차는 건파우더 블렌드 또는 ''차라 산두크''(쓴맛이 나는 건파우더 블렌드보다 맛이 덜한 녹차)의 녹차 잎으로 준비한다.
알제리인들은 커피를 많이 마신다. 진한 에스프레소와 블랙 커피가 매우 인기가 있으며, 알제리식 아침 식사는 크루아상 또는 버터를 바른 빵, 또는 알제리 바클라바, 므세멘 또는 꿀이나 잼을 얹은 바그리르와 같은 알제리식 과자와 함께 라떼 커피로 구성된다. "오리지널 아이스 커피"라고 불리는 마자그란은 알제리에서 유래된 차가운 설탕 커피 음료이다.[21][22]
''체르베트 마자르''는 알제리 북부 지역에서 결혼식 때 마시는 전통 음료이다. 이는 물, 설탕, 오렌지 꽃 물(''마자르'')로 만든 시럽이다.[17] ''셰르베트 밀리아나''는 체리로 만든 또 다른 전통적인 시럽으로, 밀리아나에서 유래되었다.
''가주즈''라고 불리는 과일 주스와 청량 음료는 흔하며 매일 마시는 경우가 많다. 가장 유명한 알제리 소다는 알제리 청량 음료 제조업체인 하무드 부알렘으로, 알제리에서 인기 있는 음료를 만들어 주로 알제리 이민자들이 소비하도록 해외로 수출한다. 1878년에 설립된 이 회사는 알제리에서 가장 오래된 회사 중 하나이다. 이 회사의 제품에는 "Selecto", "Hamoud", "Slim"과 같은 소다가 있으며, 각 제품은 여러 가지 맛으로 출시되며, 다양한 맛의 시럽도 판매한다.[23]
알제리는 프랑스령 알제리 시대에 많은 양의 알제리 와인을 생산했지만, 독립 이후 생산량이 감소했다. 알제리에서는 알코올 소비를 좋지 않게 보지만 법적으로 금지되지는 않으며, 이는 와인 재배자가 마스카라, 메데아, 텔렘센의 비탈에서 주로 다양한 와인을 생산하는 것을 막지 못한다.[24]
6. 소스 및 조미료
알제리 요리는 풍미 있는 향신료와 허브를 사용하는 것이 특징이며, 다양한 소스는 많은 요리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알제리의 인기 있는 소스로는 하리사와 데르사가 있다.
하리사는 건조된 고추, 마늘, 올리브 오일, 그리고 캐러웨이와 고수와 같은 다양한 향신료로 만들어진 매운 칠리 페이스트이다. 스튜, 수프, 구운 고기에 열과 풍미를 더하는 조미료로 자주 사용되며, 고기나 해산물에 마리네이드로도 사용할 수 있다.
데르사는 마늘, 레몬즙, 올리브 오일, 그리고 파슬리, 고수, 민트와 같은 다양한 허브로 만들어진 더 순한 소스이다. 빵, 채소 또는 구운 고기를 찍어 먹는 소스로 자주 사용되며, 샐러드의 마리네이드 또는 드레싱으로도 사용할 수 있다.
그 외에 다른 소스 및 조미료는 다음과 같다:
- 자알루크(Zaalouk): 가지, 토마토, 마늘, 향신료로 만든 알제리의 전통적인 딥으로, 전채 또는 반찬으로 제공된다.
- 체르물라: 마늘, 고수, 레몬즙, 향신료로 만든 마리네이드로 해산물과 육류 요리에 풍미를 더하는 데 일반적으로 사용된다.
- 툼(Toum): 마늘, 레몬즙, 올리브 오일로 만든 마늘 소스로, 아이올리와 유사하며 구운 고기와 함께 제공되거나 딥으로 사용된다.
- 샤크슈카 소스: 양파, 고추, 다양한 향신료로 만든 매운 토마토 소스로, 같은 이름의 인기 있는 달걀 요리에 자주 사용된다.
- 흐미스: 구운 붉은 고추, 토마토, 마늘, 올리브 오일, 고추로 만든 매운 토마토 소스이다. 빵이나 구운 고기와 함께 딥 또는 스프레드로 제공되며, 샌드위치나 피자 토핑으로도 사용할 수 있다. 구운 붉은 고추는 흐미스에 스모키한 풍미를 더하는 반면, 고추는 매운맛을 더하여 풍미 있고 매운 조미료로 만들어준다. 알제리의 일부 지역에서는 커민과 파프리카와 같은 향신료를 첨가하여 흐미스를 만들어 독특한 지역적 변형을 제공하기도 한다.
7. 빵
알제리에서 빵은 신의 축복인 ''바라카''를 담고 있다고 여겨진다. 전통적으로 빵은 생명의 상징으로 여겨지며 삶, 다산, 풍요를 상징하는 의식에서 사용된다.[25]
- 쿠브즈 아스-다르''(Khubz as-dâr): 밀가루, 물, 소금, 효모로 만든다. 전통적으로 납작하고 둥글며 두께가 몇 cm 정도이며, 가정이나 가스 오븐, 공동 오븐에서 굽는다.
- 쿠브즈 앗-타진''(Khubz at-tajîn) 또는 마트루''(matlû): 밀 세몰리나, 효모, 물, 소금으로 만든다. 납작한 팬빵으로, 불에 달궈진 흙 또는 무쇠 판에 굽는다. 발효제의 품질, 보리나 수수, 겨 첨가, 옥수수 기반 등 다양한 변형이 있다.
- 쿠브즈-프티르''(Khubz-ftir), 라카크''(raqâq), 르피스''(rfîs) 또는 타리드''(tarîd): 잘 반죽된 무발효 반죽을 불 위에 돌로 받쳐 놓은 볼록한 놋쇠 또는 철판 위에서 30초 동안 굽는다. 팬을 쉽게 운반하고 연료가 적게 필요하여 유목 생활에 선호된다.
- 바트부트''(Batbout): 피타 빵과 유사하지만 더 두꺼운 작은 빵(''마트루''와 유사)이다. 속을 채워 먹는다.
- 프랑스식 바게트: 흰색, 발효된 밀가루로 만든다. 제빵소나 길거리 상인에게서 구입하며, 전기로 작동되는 제분소에 접근할 수 있기 때문에 가정에서는 만들지 않는다.
프랑스 빵은 맛과 품질 면에서 높은 가치를 부여받지만, 바게트의 흰 속은 건강에 좋지 않다고 여겨져 자주 버려지며 변비와 연관되기도 한다.[25] 반면 알제리 빵은 영양가 있고 풍부하며 맛이 좋고 버려지는 일이 드물다. 프랑스 빵은 밤새 딱딱해지거나 비닐 봉투에 넣어두면 질겨져 활용하기 어렵지만, 알제리 빵은 재가열하거나 식용 식기 또는 새 모이로 재활용할 수 있다.[25]
의례에서 알제리 빵만이 적합하다고 여겨진다. 손님에게 대접하는 빵은 가족의 본질, 친밀함, 자질을 나타내므로 직접 만들어야 한다. 일상생활에서도 식탁에 빵이 많으면 부와 풍요의 징표가 되며, 집에서 빵을 만드는 것은 가족의 경제적 독립을 나타낸다.[25]
알제리에서 흔히 먹는 빵으로는 케스라, 마틀루, 므타브가, 무나가 있다.
8. 갤러리
참조
[1]
웹사이트
Culture, Traditions, Cuisine
https://www.britanni[...]
2024-04-02
[2]
서적
Mediterranean Cuisine: Flavors for a Healthier You
https://books.google[...]
Christian Faith Publishing, Inc.
2019-08-29
[3]
서적
The World in Your Hands: A Guide to Every Nation.: Learn about History, Language, Nature, and More in this Fascinating World Tour. Multiple choice question included for every country.
https://books.google[...]
MGameiro LLC
2023-05-11
[4]
서적
Algerian Cuisine: Traditionally Dish from Algeria and Mediterranean Cuisine
https://books.google[...]
Amazon Digital Services LLC - Kdp
2019-06-07
[5]
웹사이트
Food Cultures of the World Encyclopedia 4 volumes 0313376263, 9780313376269
https://ebin.pub/foo[...]
2024-04-02
[6]
웹사이트
Food in Algeria
http://www.foodbycou[...]
2010-05
[7]
간행물
Sustaining the Memory of Colonial Algeria Through Food
https://link.springe[...]
Springer International Publishing
2023-05-05
[8]
웹사이트
Food in Algeria
https://www.worldfoo[...]
2023-08-23
[9]
문서
French words: Past, Present, and Future
2001
[10]
문서
Research in African Literatures
http://www.clifforda[...]
2003
[11]
문서
Merquez and Qadid, North-African preserved meats
[12]
서적
Un concert à Cherchell: Récit
https://books.google[...]
Editions L'Harmattan
2013-01-01
[13]
서적
Les secrets de la Meyda
https://books.google[...]
Éditions alpha
2007
[14]
웹사이트
Luce Ben Aben, Moorish Women Preparing Couscous, Algiers, Algeria
http://www.wdl.org/e[...]
2013-09-26
[15]
웹사이트
El-Hammoum, un Couscous avant LE Couscous
https://guide-oran.c[...]
[16]
웹사이트
Aftir oukessoul de Béjaïa
http://www.cuisineal[...]
2013-11-30
[17]
서적
Le livre de la cuisine d'Algérie
http://worldcat.org/[...]
SNED
"1981"
[18]
웹사이트
Gaspacho oranais ou manchego
http://coundris.chez[...]
Coundris.chez-alice.fr
2014-08-27
[19]
문서
KOI VOIR A ORAN
https://books.google[...]
[20]
서적
Alger 2012-2013 (avec cartes, photos + avis des lecteurs)
https://books.google[...]
Petit Futé
2012-07-12
[21]
서적
All About Coffee
https://archive.org/[...]
Tea and Coffee Trade Journal Company
[22]
뉴스
Coffee Song: A rethink on Coffee
http://articles.econ[...]
2014-11-02
[23]
웹사이트
Accueil
http://www.hamoud-bo[...]
2022-06-12
[24]
간행물
LA VIGNE EN ALGÉRIE D'APRÈS H. ISNARD
https://www.jstor.or[...]
"1948"
[25]
문서
French Bread and Algerian Wine: Conflicting Identities in French Algeria
200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